첨부파일 : SSA51327.JPG (971kb) 다운 : 0 |
사찰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문양은 연꽃입니다. 불보살께서 앉아 계신 연화좌를 비롯하여 화려한 장식의 불단· 천장·문살은 물론이고 부도·석등·기와의 문양까지도 연꽃으로 장식되어 연꽃으로 장엄한 불국토인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를 연상하게 됩니다. 불교의 꽃, 연꽃! 연꽃은 불교의 상징으로 처염상정(處染常淨)의 꽃입니다. 더러운 흙탕물 속에서 피어나지만 잎도 꽃도 더럽혀지지 않고 깨끗하게 피어납니다. 곧 우리들이 탁하고 악한 세상에서 살아가고 육도(六道)를 윤회할지라도 우리의 근본 불성(佛性)은 물들거나 흐려짐이 없이 언제나 깨끗하다는 것을 연꽃의 처염상정에 비유한 것입니다. 달리 비유하면, 금이 인연을 따라 목걸이도 되고 반지도 되고 팔찌도 되고 비녀도 되지만 금이라는 바탕은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이, 중생이 업을 따라 육도윤회를 하지만 근본 불성자리는 전혀 변화하거나 물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 연꽃의 특징은 꽃이 피는 것과 동시에 열매인 연밥이 함께 나타난다는 화개현실(華開顯實)입니다. 이는 원인과 결과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인(因)을 지을 때 이미 과(果)가 생겨났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인즉과(因卽果)! 원인이 곧 결과요, 결과 속에 원인이 있다는 것을 깨우쳐 주고 있는 것입니다. 처염상정(處染常淨)·화개현실(華開顯實)! 바로 이 때문에 연꽃이 불교의 꽃이 된 것입니다. 우리가 연꽃이 품고 있는 '처염상정'과 '인즉과'의 가르침을 잘 새기고 닦아 가면 언젠가는 꾸밈이 아닌 진실한 모습을 회복할 수 있게 되고, 대우주의 진리를 깨달아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연꽃은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내가 연꽃처럼 살면 나는 이미 불국토(佛國土)에 있음이요, 내가 연꽃처럼 맑고 향기롭게 살아갈 때 '나'는 이미 극락의 연화대 위에 있음이 아니겠습니까? |
'佛敎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공의 지은 죄 (0) | 2007.06.29 |
---|---|
여덟 장의 연꽃 잎 (0) | 2007.06.29 |
마음의 주인 (0) | 2007.06.22 |
입은 재앙의 문 (0) | 2007.06.20 |
피할 수 없는 인연 (0) | 2007.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