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음력 7월 15일이 되면 불교신도들은 백중(白衆)마지에 붐비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백중날은 우리 불교에서 중요한 날입니다. 백중은 속칭 백종(百種)이라고도 하는데 그 까닭은 백가지의 과일과 진수성찬을 삼보(三寶)전에 올려서 현세부모(現世父母)는 연년익수(延年益壽)케 하고 선망부모(先亡父母)는 이고득락(離苦得樂)케 한다는 것이고, 넋을 고통에서 놓아준다고 하여 백종(魄蹤)이라고도 합니다. 또는 농부들이 이때는 농사를 거의 다 마치고 발뒤꿈치를 하얗게 씻는다고 하여 백종(白踵)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이날을 ‘백종’이라 하지 않고 ‘백중(白衆)’이라고 합니다. 스님들은 음력 4월 15일에 시작한 여름안거를 7월 15일에 끝내는데 이 날 모든 스님들이 3개월의 안거기간 동안 스스로가 지은 허물과 공부한 결과를 ‘대중(大衆)앞에 고백(告白)’하는 날이라 하여‘백중(白衆)’이라고 칭하였던 것입니다. 우리 불교에서의 유래에 의하면 이날을 우란분(盂蘭盆)이라고 하는데 이는 인도말로서 우리말로 옮기면 구도현, 해도현(救倒縣 解倒縣) 이라고도 합니다. 지옥 등의 악도에서 거꾸로 매달려서〔倒縣〕살아야 하는 영가들을 그 고통에서 구해주고 해방시켜 준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이미 세상을 떠난 우리의 선망부모 즉 조상과 친척들이 제대로 좋은 곳을 가지 못하고 지옥(地獄)에 들어가서 매달려 있는 고통에서 구하기 위하여 이날 삼보(三寶)전에 공양(供養)을 올리고 축원을 하면 모두 석방되어 좋은 곳으로 가게 한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시방(十方)의 성승(聖僧)들이 4월 15일에 결제(結制)하여 묵언(黙言) 공부를 하다가 7월 15일에는 해제(解制)를 하게 됨으로 입을 여는 날이요, 대중에게 자기의 미지(未知)의 법문(法問)을 선지식(善知識) 스님께 물어서 의혹을 푸는 날이 되기 때문에 이 날을 기하여 불교신자가 서로 모여서 삼보전에 공양을 올리고 축원을 하면 현존(現存)한 부모는 수명장수(壽命長壽)하고 선망부모는 이고득락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유래와 전설의 증거는 우란분경(盂蘭盆經)과 불설대목련경(佛說大目連經)에 상세하게 적혀있는 것으로 대강을 들어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석가세존(釋迦世尊) 당시에 십대제자(十大弟子) 가운데 한사람인 대목련존자(大目連尊者)라는 제자가 있었는데 그는 부모를 위한 출천(出天)의 효자였습니다. 그가 사리불(舍利佛)이란 친구의 반연으로 출가하여서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는데 출가하기 전에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삼년상을 지내고 뒤미처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삼년상을 지내고 출가하느라고 사리불보다 늦게 중이 되었습니다. 그는 중이 되어서도 각고근면(刻苦勤勉) 공부를 잘한 관계로 일찍이 오신통(五神通)을 얻어서 상하천지 3계 28천(天)을 못 보는 것이 없었습니다.
어느 날에는 이미 돌아가신 부모님이 다 어디에 가서 수생(受生)하여 계신가 하고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아버지는 화락천궁(化樂天宮)에 태어나서 복락(福樂)을 받고 계신데 어머니는 어디 가서 소생하였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 물었더니 “너의 어머니는 살아생전에 죄를 지은 일이 많아서 지금 아귀지옥(餓鬼地獄)에 가서 고통을 받고 있느니라.” 하셨습니다.
이 말씀을 들은 목련은 깜짝 놀라서 “그러면 어찌하면 좋으리까?” 하였더니 “7월 15일은 공부하는 납자(衲子)가 입이 떨어져서 대중에 사루는 백중(白衆)날이요, 석 달 공부가 차는 날이라 모두가 자기분수대로 도력(道力)을 얻은 것이 있을 것이니 네가 이 날에 백미진수를 갖추어서 삼보(三寶)에게 공양하고 대중에게 공양하며 너의 어머니의 이고득락을 주원(呪願)하면 너의 어머니가 반드시 아귀지옥에서 벗어나리라” 하셨습니다.
그래서 목련존자가 그렇게 하기로 하고 음식을 가지고 어머니를 찾아서 아귀지옥에 들어갔더니 과연 어머니가 차마 볼 수 없는 몰골로 고통을 받고 있었습니다.
“어머니 이게 어이된 일입니까? 어머니가 살아계실 때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위하여 날마다 오백승재(五百僧齋)를 베풀고 십선업(十善業)을 닦으시었다고 하시더니 어째서 이런 곳에 와서 고통을 받고 계십니까?”
“아무 말도 하기 싫다. 나는 너를 속이고 실제상으로 죄를 많이 저질렀기 때문에 이곳에 와서 고통을 받을 따름이다. 그래서 백천년이 지나도 너를 다시 못 볼 줄만 알았더니 너를 여기서 만나니 이것도 너의 아버지의 공덕이요 너의 효심이 하늘에 사무친 까닭인가 한다. 너는 어서 무슨 방법으로든지 나를 이곳에서 구해내도록 하여라.”
“그 일은 염려마시고 이 불효자에게 맡기십시오. 이 자식이 비록 못난 자식이오나 대성(大聖)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제자이온데 어떻게 하든지 어머니 한 분이야 구해드리지 못하겠습니까. 그것은 염려마시고 이 음식이나 잡수십시오”
하고 음식을 그의 어머니에게 올렸더니 어머니가 아직도 욕심이 많아서 한 손으로는 사람을 막고 다른 한손으로는 음식을 움켜먹는데 건더기는 뱃속으로 들어가서 탄자와 같이 튀어 뜨겁고 아파 견딜 수가 없고 국물은 구리녹인 물로 변하여 뱃속에서 용솟음을 치고 끓어올라 오히려 음식을 대접한 것이 큰 욕을 보이는 셈이었습니다. 이것을 본 목련은 천개만개의 칼과 창으로 목을 베이고 찌르는 것 같았습니다.
아귀보(餓鬼報)라는 것은 머리는 물레만하고 모가지는 손가락 같고, 목구멍은 바늘귀만하고, 배는 방통만하고, 다리는 절구통과 같은데 걸어가면 소리가 나서 오백수레가 끌려가는 것 같이 소리가 요란합니다. 그러므로 뭇 귀신들이 손가락질을 하고 저 아귀 떼가 간다고 하며 흉을 봅니다. 그리고 두 귀에서 불이 타 올라옵니다. 이러한 것을 목도한 목련존자는 곧 세존께서 시키는 대로 7월 15일에 백미진수를 갖추어서 우란분재를 베풀고 시방성승(十方聖僧)에게 공양을 올렸더니 그의 어머니는 이내 이고득락하며 천상락(天上樂)을 받아갔습니다.
그 뒤에 목련존자가 부처님께 아뢰오되 “이 우란분재는 이 제자에게만 한해서 한번만 하고 말 것이 아니라 후세의 중생도 본을 보아 하게 하면 어떠하오리까?” 하였더니 세존께서도 “그것 대단히 좋은 말이다. 후대 중생도 너의 모양을 본따서 7월 15일마다 우란분재, 즉 백중마지를 올리면 현세부모는 연년익수하고 선망부모는 왕생극락하리라” 하셨습니다.
그래서 그 뒤부터 오늘까지 백중마지를 올리는 명절이 된 것입니다.
그런 즉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 날입니까? 이 날이야말로 효도의 사상을 고무하는 날이요, 고통 받는 중생을 천도하는 날이며, 시방의 십류고혼을 위로도 하는 날이니 국가의 현충일과도 같은 날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불자(佛子)는 널리 선전하여 백중마지의 의의를 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용 대불모 불사도량 부용사 현산 지관 합장
'佛敎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자에게 절을 하다 (0) | 2011.07.28 |
---|---|
동종선근설(同種善根說) (0) | 2011.07.22 |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0) | 2011.07.16 |
복밭(福田) (0) | 2011.07.12 |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0) | 2011.07.11 |